반응형
홈가드닝 : 화분 선택
목차
식물을 키울 때는 화분도 중요합니다. 충분한 빛을 확보하는 것이 식생활 8할이라고 하면 화분과 흙, 통풍이 나머지 2할이겠죠. 하지만 사실 흙을 담을 수 있으면서 밑에 구멍만 뚫려 있으면 어느 것이든 화분의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.
밖에서 콘크리트 틈에서 자라는 식물들도 있잖아요? 그렇기 때문에 어느 것이든 화분으로 만들 수 있답니다. 페트병, 플라스틱 일회용컵 중요하지 않아요.
토분
👍 통기성!!! 통기성!!! 통기성!!!
👎 가격!!! 소모품!!! 방심하면 깨진다. 시간이 지나면 곰팡이가 끼거나 미네랄로 하얗게 백화현상이 발생한다. 브랜드 있는 제품의 경우 가격도 상당히 높은 편. 반면 우후죽순 생겨나는 취미판 특성상 품질 관리는 그닥...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다.
- 토분은 실내 가드닝에서 추천합니다. 통풍이 부족한 환경일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플라스틱 화분보다 아무래도 예뻐요! 토분에도 여러 종류가 있지만, 크게 저화도 토분과 고화도 토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
- 저화도 토분은 가볍고 통기성이 좋아 물빠짐이 좋습니다. 과습에 고생할 확률이 적지만, 축축함을 좋아하는 식물을 키울 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자칫하다가 뿌리를 말릴 수 있으므로 건조에 강한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 좋아요.
- 고화도 토분은 정반대로 무겁고 통기성도 저화도 토분과 비교했을 때 좋지 않은 편입니다. 하지만 플라스틱 등 다른 화분과 비교했을 때에는 그래도 토분이라 좋은 편이에요.
Q. 통기성이 좋은 토분을 고르려면?
색과 코팅이 입혀져 있지 않으면서 크기에 비해 가벼운 화분을 고르세요.
플라스틱 화분, 연질 비닐포트
👍 가볍고 저렴하다.
👎 통기성이 나쁘다. 햇빛에 쉽게 삭는다.
- 플라스틱 화분의 최고 장점은 가볍고 저렴하다는 것으로, 다이소에서 저렴하게 살 수 있는 대형 쓰레기통 또는 생활에서 구할 수 있는 페트병, 일회용컵 등도 될 수 있습니다.
- 하지만 통기성이 나빠 과습이 올 수 있는데, 특히 개업 화분으로 나오는 높은 화분은 더욱 위험합니다.
- 드릴이나 송곳, 인두기로 추가적으로 구멍을 뚫어주는 것이 좋습니다.
반응형
슬릿분 (Slit Pot)
👍 가볍고 뿌리 발달에 좋다. 토분에 비교하면 저렴하다.
👎 플라스틱 화분보다는 비싸다. 40호 이상의 사이즈는 없음
- 개인적으로 실내에서 가장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 화분으로 생각하는데, 통풍이 부족한 플라스틱 화분의 단점도 보완하면서 뿌리 발달에 좋습니다.
- 원리는 뿌리가 자라면서 틈 (Slit)으로 뿌리가 공기에 노출되는데, 뿌리의 생장점이 마르면서 세근이 발달하게 되는데, 이렇게 세근이 발달하게 되면 같은 부피의 화분이더라도 영양 흡수라던가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.
- 중국산 슬릿분은 내구성이 매우 약하기에 슬릿분 만큼은 국산을 추천합니다. 최근에는 다이소에서도 판매하고 있습니다.
고무 화분
👍 부피 대비 매우 저렴하다! 내구성. 햇빛에 쉽게 삭지 않는다.
👎 심미성.
- 야외에서 키우는 식물의 경우 고무 화분에서 많이 키우는데, 햇빛에 쉽게 삭지 않기 때문입니다.
- 가격도 야외에서 대충 쓰기에 비싸지 않은 편인데 다만 심미성이 나빠서...
도자기 화분
👍 심미성.
👎 통풍.
시멘트 화분
👍 내구성. 야외에서 쓰기 좋다. 바람에도 날아가지 않는다!
👎 과습 주의. 실내에서 쓰기엔 너무 무겁고 위험하다.
스티로폼
👍 접근성. 매우 쉽게 구할 수 있다.
👎 심미성. 내구성. 햇빛에 매우 쉽게 삭는다.
반응형
'일상 > 식물을 키우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🌿 화려한 비비추! 호스타 (Hosta) : 키우는 방법, 흙, 꽃 관리, 주의사항 (0) | 2023.06.14 |
---|---|
🌱 열대 과일 리치 씨앗 파종, 발아 도전! 리치 생과 파는 곳, 사는 방법 (0) | 2023.06.14 |
실내 홈가드닝 : 가성비로 고르는 식물등 추천! 적정 조명 시간은 얼마나? (0) | 2023.05.09 |
💚 하트 선인장? ‘호야 케리’, 하트 호야 키우는 방법 (Hoya Kerrii) (0) | 2023.04.06 |
🌱 실내에서도 쉽게 할 수 있는 화분 흙 재활용 방법! 녹비 식물 심어주세요! (0) | 2023.04.05 |
댓글